크라운 안에 음식물 썩은 냄새가 나거나 구린내가 난다면 그 원인과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드리며 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크라운 안에 썩은 냄새가 생겼다면 충치가 생겼다고 생각하시면 되시며, 안타깝게도 다시 크라운시술로 진행하시는 것은 힘들며,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일단 이 이야기 마저 하고 아래에 이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크라운 안에 충치가 생겼다면 당연히 통증도 나타나야 되는 거 아닌가요?라고 묻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보통 크라운을 하기 전에 시술하는 방향은 두 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하나는 신경치료를 안 하고 크라운을 하는 방향, 또 하나는 신경치료를 한 다음에 크라운을 하는 방향. 가장 좋은 시술 방향은 신경치료를 안 하고 크라운을 씌우는 방향이 관리하기가 좋습니다.
그 이유는 신경치료를 하게 되면 충치가 생겨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그로 인하여 현재 크라운 안의 상태가 어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가 허다한데요.
이렇게 모르고 살고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크라운이 탈락하게 되어 내부를 살펴보게 되면, 충치가 전부 갉아먹는 것을 바라보실 수 있습니다. 결국 치아를 살리지 못하고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해야 하지요.
크라운을 식립하고 안에서 썩은 냄새와 충치가 생기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치실과 치간칫솔로 제거를 안 해주시는 경우와, 또 하나는 방금 설명드린 이물질 끼임으로 인하여 치아 틈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점점 잇몸 자체가 내려가게 됩니다. 이것을 잇몸 퇴축이라고 불리지요. 이렇게 염증이 생겼다 없어졌다 반복을 하게 되면, 나중에는 크라운 아랫부분에 틈이 생겨서 그 안으로 충치가 들어가게 되어 진행되게 됩니다.
그러므로 크라운이 필요한 시술인 경우에는 웬만하시면 지양하시고 바로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방향이 총합적인 비용면으로 가장 가성비 있는 방법이오니 잘 참고하시어 시술에 대한 선택지 잘 선정하여 치료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